야성 드루이드 백과사전
Written by: Crazymeow
Translated by: NeruTe
새소식
11.1 상향폭
위험한 송출기 기준으로 1시즌 대비 약 +9.3%.
스카르딘의 은총 착용 시 약간 더 높음.
11.1 티어 세트 방어구
2세트: 주문 및 능력 사용 시 일정 확률로 연속 당첨 효과가 활성화되어 흉포한 이빨, 도려내기, 원시 분노의 공격력이 3%씩 최대 10회 증가합니다. 흉포한 이빨, 도려내기, 원시 분노를 시전 시 15%의 확률로 연속 당첨 효과가 사라집니다.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 흉포한 이빨은 이 확률을 발동시키지 않습니다.
4세트: 최상위 포식자의 갈망 효과를 소모하면 행운아가 되어 해당 흉포한 이빨의 주 대상에게 전투력의 800%에 해당하는 물리 피해를 가하고 6초 동안 주기적인 효과의 공격력이 16%만큼 증가합니다.
2세트는 약 2.1%, 4세트가 더해지면 총 7.1% 정도의 화력 향상 효과. 다른 클래스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티어 효과이지만, 그래도 영웅 등급 이상으로 확보하면 1시즌 2셋 + 2시즌 2셋을 착용하는 것이 맞음. (정확한 수치는 개인 시뮬레이션을 따를 것)
특성 빌드
2시즌 4세트를 확보하면, 모든 빌드가 최상위 포식자의 갈망을 가져가게 된다. 기존 세트 효과의 상실로 인해 레이드 보스에서는 야생추적자를 쓰게 될 가능성이 높다. 즉 다시 레이드는 야추, 쐐기는 발드를 가져가는 형태가 된다. 또한 드루이드 공용 트리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필수 특성을 먼저 찍고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것을 가져가면 된다.
11.1 업데이트가 실제로 이뤄지기 전까지는 WowHead 연동 문제로 현재 이 페이지에서 특성 빌드 항목을 정상적으로 볼 수 없다.
키르케의 반지
추가적인 하향이 적용되지 않는 이상 2시즌에도 그대로 착용하게 된다. 전설적인 선장 및
포효하는 전쟁여왕 하향을 감안해도 여전히 유효하다.
추천 황수정 조합
천둥: 폭풍인도자 고정.
바다: 심해살이 고정.
바람: 바람가수 고정.
로테이션
단일 대상


상세한 시전 우선순위
시전 우선순위란?
아래의 내용은 행동 우선순위로, 그 순서대로 기술을 사용하라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매 순간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중 가장 위에 있는 것을 써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SimulationCraft에서 사용되는 APL(Action Priority List)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전투 시작 전
다음 중 현재 선택한 특성을 모두 체크
단일 대상 시전 우선순위
1순위: 주요 쿨다운 기술
- 연계 점수가 5점일 때, 혹은 기력이 최대치로부터 35 이상 모자랄 때,
호랑이의 분노.
-
최상위 포식자의 갈망 효과를 받고 있고, 지금
흉포한 이빨을 시전해도
피투성이 발톱 발동에 문제가 없다면,
흉포한 이빨.
-
최상위 포식자의 갈망 효과를 받고 있다면,
흉포한 이빨.
-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적응의 무리.
-
걷잡을 수 없는 무리 선택 시, 현재 활성화된
적응의 무리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응의 무리.
-
호랑이의 분노에 맞춰,
화신.
-
호랑이의 분노에 맞춰,
광폭화. 어떤 이유로
영혼 소집과 재사용 대기 시간이 어긋났다면, 전체 광폭화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 아닌 이상 늦췄다가 영혼 소집과 함께 쓸 것.
- 연계 점수 1점 이하에서,
야성의 광기.
화신 발동 중일 경우, 2점에서 사용해도 무방함.
- 연계 점수 1점 이하에서,
야성의 광기.
광폭화 발동 중일 경우, 2점에서 사용해도 무방함.
-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영혼 소집.
- 전투가 끝나기 직전이라면,
영혼 소집. 일반적으로는 전체 영혼 소집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 아닌 이상
광폭화와 함께 쓰는 것이 맞음.
2순위: 마무리 일격
3순위: 연계 점수 생성기

-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그림자 숨기 >
갈퀴 발톱.
- 다음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갈퀴 발톱.
-
화신/
광폭화 중이 아니고, 다음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갈퀴 발톱.
-
화신/
광폭화 중이고
기습 공격 효과를 갖고 있다면,
칼날 발톱.
-
잔혹한 베기가 4초 내로 3개 꽉 차는 상황이라면,
잔혹한 베기.
-
난타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일 때,
난타.
청명의 전조 효과를 받고 있을 때,
칼날 발톱.
-
달빛섬광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일 때,
달빛섬광.
-
잔혹한 베기.
칼날 발톱.
- 아직
피투성이 손길 효과를 얻지 못했다면, 아래의 우선순위에 따라 발동시킬 것.
다중 대상

다중 대상 시전 우선순위
시전 우선순위란?
아래의 내용은 행동 우선순위로, 그 순서대로 기술을 사용하라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매 순간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중 가장 위에 있는 것을 써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SimulationCraft에서 사용되는 APL(Action Priority List)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전투 시작 전
다음 중 현재 선택한 특성을 모두 체크
다중 대상 시전 우선순위 (2+ 대상):
1순위: 주요 쿨다운 기술
중요: 모든 단일 대상 기술은 점사 대상 / 체력이 가장 높은 적에게 사용할 것
- 연계 점수가 5점일 때, 혹은 기력이 최대치로부터 35 이상 모자랄 때,
호랑이의 분노.
-
최상위 포식자의 갈망 효과를 받고 있고, 지금
흉포한 이빨을 시전해도
피투성이 발톱 발동에 문제가 없다면,
흉포한 이빨.3. [*Apex Predator's Craving AOE&&~Bloodtalons]
Ferocious Bite with
Apex Predator's Craving procs.
-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적응의 무리.
-
걷잡을 수 없는 무리 선택 시, 다음의 우선순위에 따라 쿨마다
적응의 무리.
-
화신. 항상
호랑이의 분노와 맞춰 쓸 것.
-
광폭화. 항상
호랑이의 분노와 맞춰 쓸 것.
- 연계 점수 1점 이하에서,
야성의 광기.
화신/
광폭화 발동 중일 경우, 2점에서 사용해도 무방함.
- 연계 점수 1점 이하에서,
야성의 광기.
화신/
광폭화 발동 중일 경우, 2점에서 사용해도 무방함.
-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영혼 소집.
2순위: 마무리 일격
3순위: 연계 점수 생성기

-
난타가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일 때,
난타.
-
화신/
광폭화 중일 경우,
잔혹한 베기.
피투성이 손길 발동을 방해하더라도 상관없음.
- 3개 이상의 대상과 전투 중일 경우,
화신/
광폭화 중,
잔혹한 베기.
피투성이 손길 발동을 방해하더라도 상관없음.
-
화신/
광폭화 중일 경우,
휘둘러치기.
피투성이 손길 발동을 방해하더라도 상관없음.
- 3개 이상의 대상과 전투 중이고
화신/
광폭화 중일 경우,
휘둘러치기.
피투성이 손길 발동을 방해하더라도 상관없음.
- 4초 내로 적 대상이 죽거나
잔혹한 베기가 3개 꽉 차는 상황이라면,
잔혹한 베기.
- 현재 전투 중인 적 대상이 5개 이상이라면,
휘둘러치기.
-
기습 공격 효과를 갖고 있지 않고, 임의의 적 대상에게
갈퀴 발톱이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이거나, 지금 시전하는
갈퀴 발톱이 기존의 것보다 강한 상태라면,
숨기 >
갈퀴 발톱.
- 임의의 적 대상에게
갈퀴 발톱이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이거나, 지금 시전하는
갈퀴 발톱이 기존의 것보다 강한 상태라면,
숨기 >
갈퀴 발톱.
-
기습 공격 효과를 갖고 있지 않고, 임의의 적 대상에게
갈퀴 발톱이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이거나, 지금 은신하여 시전하는
갈퀴 발톱이 기존의 것보다 강한 상태라면,
그림자 숨기 >
갈퀴 발톱.
- 임의의 적 대상에게
갈퀴 발톱이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이거나, 지금 은신 상태로 시전하는
갈퀴 발톱이 기존의 것보다 강한 상태라면,
그림자 숨기 >
갈퀴 발톱.
- 현재 보유한
청명의 전조가 1개 이하일 때,
갈퀴 발톱이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인 적 대상에게
갈퀴 발톱.
- 현재 전투 중인 적 대상이 3개 이상이라면,
휘둘러치기.
- 현재
갈퀴 발톱에 걸린 적이 하나도 없다면,
피바라미 덩굴 발동을 위해 임의의 대상에게
갈퀴 발톱.
- 현재 보유한
청명의 전조가 1개 이하이며, 임의의 적 대상에게
달빛섬광이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일 때,
달빛섬광.
- 임의의 적 대상에게
갈퀴 발톱이 걸려 있지 않거나, 남은 지속시간이 pandemic 구간 이내일 때,
갈퀴 발톱.
-
잔혹한 베기.
-
휘둘러치기.
-
휘둘러치기.
-
기습 공격 효과를 갖고 있지 않을 때,
칼날 발톱.
-
칼날 발톱.
-
난타.
- 아직
피투성이 손길 효과를 얻지 못했다면, 아래의 우선순위에 따라 발동시킬 것.
특성 빌드
11.1 업데이트가 실제로 이뤄지기 전까지는 WowHead 연동 문제로 현재 이 페이지에서 특성 빌드 항목을 정상적으로 볼 수 없다.
드루이드 트리 (모든 PvE 컨텐츠 공용)

보라색 / 선택 특성 설명
해제: 독 / 저주 해제가 필요할 경우 반드시 들고 갈 것. 다만 독과 저주가 등장하는 던전 / 레이드는 그렇게 흔하지 않음.
회복의 본능:
달 바라기 (내지는
영혼 소집) 를 활용하는 빌드이고, 달리 찍을 게 없을 경우 찍을 것. 아주 약간의 DPS 상승 효과가 있음.
고양이의 민첩함: 꼭 찍어야 하는 다른 특성이 있는 경우에만 빼고, 일반적으로는 항상 들고 가는 특성.
갈고 닦은 본능과 이것 중 하나만 찍어야 한다면 갈고 닦은 본능을 가져 갈 것.
갈고 닦은 본능: 지속 피해 대응에 특히 뛰어난 생존 특성. 문제는 이것까지 켜지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 켜지는 일이 가끔 있어, 정작 필요할 때 효과를 못 받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
완벽하게 갈고 닦은 본능: 달리 찍을 게 없거나, 보스전 상황이 이 90초 생존기에 잘 맞으면 선택할 수 있음.
행동 불가의 포효: 보통 쐐기에서 광역 차단 용도로 선택. 최근 상향에 의해 발동 후 약간 피해를 가해도 즉시 풀리지 않게 되었음. 공격대에서는 거의 쓸 일이 없는 특성.
곰의 활기: 보통
곰 변신의 효과를 높여서 큰 한 방 피해를 살아남아야 하는 쐐기에서 주로 쓰는 특성. 레이드에서도 가끔 쓸모가 있음.
액체 형상: 변신에 따르는 글쿨 낭비를 줄여 주는 우수한 특성. 보통은 가져가는 것을 추천하지만 변신을 자주 하지 않는다면 그만큼 이 특성의 가치도 내려가게 됨.
태풍: 넉백이 필요하거나,
우르솔의 회오리보다 넉백이 더 유용한 상황이면 채택.
우르솔의 회오리: 적들을 흩어놓지 않으면서도 거리를 벌릴 수 있게 하는 강력한 기술.
태풍과 함께 사용하면 보급형 고어핀드의 손아귀 효과를 볼 수 있다. 굳이 고어핀드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태풍으로 적이 너무 멀리 날아가는 일을 막을 수 있어 유용하다.
정신 자극: 힐러가 요구하면 찍을 것. 또는
자연의 경계 /
숲걸음 (혹은 둘 다) 으로 진행하고 싶을 경우에도 찍을 수 있음.
자연의 경계: 쿨기와 함께 사용하면 상당한 치유를 제공하는 파티 쿨다운 기술. 특히 쐐기에서 유용하며, 보통은
광폭화와 묶어서 쓰게 된다. 이번 드루이드 트리 재설계 이후로 어지간하면 들고 가는 것을 권장.
숲걸음: 받는 치유 효과 증폭으로 인해 준수한 생존력 향상 효과가 있음. 다른 치유 증폭 효과와도 중첩이 가능.
쇄도의 포효 연마: 이동기를 쓸 일이 보다 잦은 쐐기 / 필드에서 매우 유용하며, 공격대에서도 2분 쇄포로는 부족하면 바로 들고 가게 되는 특성.
리카라의 명상: 남는 특성 포인트가 있고 변신을 할 일이 잦다면, 공짜 화력 강화 효과를 누릴 수 있음. 특히
곰 변신 할 일이 잦은 쐐기에서 유용.
드물게 선택하는 특성 설명
헝클어진 꼬리털: 남아도는 특성 포인트를 달리 쓸 데가 없다면 찍을 수 있다. 매우 약한 효과지만 생존력에 기여한다.
야생의 정수:
곰 변신 체력 /
광포한 재생력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 존재하는 초고단 쐐기 전용 선택지.
겨울잠: 쐐기에서만, 그것도 드물게 사용된다. 야수 / 용족에게만 쓸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타겟이 있는 경우에만 들고 간다.
거센 강타:
행동 불가의 포효는 필요 없지만 단일 대상 기절이 필요할 때,
무력화 대신 이 특성을 가져갈 수 있다. 특히 PvE에서는 연계 점수와 기력을 소모하는 무력화보다 누르면 바로 기절을 걸어 주는 거센 강타가 더 선호되며, 재사용 대기 시간은 더 길지만 기절이 필요한 일 자체가 상대적으로 드물기 때문에 대체하기에 문제가 없다.
무력화: PvE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절 용도보다는 급하게 차단이 필요할 때 쓰게 된다. 재사용 대기 시간이 20초로 짧고, 특성 트리에서의 위치도 가져가기 쉬운 곳에 있다는 것이 장점. 하지만 연계 점수를 소모하는 특징 때문에 이 기술을 쓸 때마다 상당한 화력 손실이 발생하고, 보통 그래서 잘 보이지 않는 특성이다. 또한 기절에 대한 점감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은 광역 기절 기술을 운용하는 파티 조합 상 문제가 될 수 있다.
별빛섬광 ->
달빛야수 변신: 실내 판정이라
날쌘 동물 변신을 쓸 수 없는 맵에서,
달빛야수 변신 +
야생의 돌진을 쓰기 위해 찍는 것이 야성 드루이드로써는 거의 유일한 용도이다. 또한 필드에서는
날갯짓도 제법 유용하다.
천공의 영향력: 마법 기술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야성 드루이드에게는 거의 쓸모가 없는 특성.
적응의 무리와
달빛섬광의 사거리가 40미터에서 45미터로 증가한다.
강풍: 남는 특성 포인트가 있다면 찍어볼 만 하다. 보다 넓게 퍼져 있는 적들도 한꺼번에 태풍으로 밀칠 수 있게 된다.
끊임없는 폭풍: 30초 내로 넉백이 두 번 이상 필요한 상황이 온다면 필요할 특성.
공격대 / 레이드 빌드
신화 언더마인 해방전 빌드는 아직 작업 중
이번 레이드에서는 야생추적자가 기본적으로 권장된다. 다중 대상 상황이 많은 전투의 경우 발톱의 드루이드를 쓰게 될 가능성도 있다.
1시즌 4세트 기준, 11.1 네룹아르 궁전 신화 빌드
유형별 기본 빌드
레이드 빌드에는 조정의 여지가 아주 많다. 아래 쐐기돌 던전 빌드 항목에서의 각 특성별 설명이나, 위 보스별 빌드의 차이를 참고할 것.
신화+/쐐기돌 던전 빌드
던전 빌드는 1시즌 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신규 이미지 곧 추가 예정.


11.1에서, 야성 드루이드의 던전 특성 빌드에는 영웅 특성을 포함해 이번에도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한다. '최고의' 빌드는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던전과 파티 구성에 맞도록 특성을 바꿔가며 사용하도록 하자. 아래의 빌드는 이러한 상황별 빌드를 몇 가지 정리해 둔 것이며, 위의 이미지는 추가적인 커스텀의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발톱의 드루이드를 채택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세부 특성 설명
1번 선택 구간(파란색)
지치지 않는 기력:
무자비한 발톱과 비교하면 단일 대상에서는 밀리지만, 그만큼 다중 대상에서는 더 강력함.
이중 발톱 갈퀴: 단일 상황에는 전혀 기여하지 않는 순수 다중 대상 특성. 야생추적자 빌드에서는 가치가 보다 더 높음.
무자비한 발톱: 다른 특성 대비 단일 대상에서 가장 강력하고, 동시에 다중 대상에서 가장 약하나, 순간 화력 측면에서는
광폭화: 광기와의 시너지에 의해 가장 강력함. 발톱의 드루이드와 시너지 존재.
난타의 발톱: 달빛섬광 빌드에 한해, 달빛섬광을 쓸 수 있는 시간 여유를 만들어 주는 준수한 선택지. 무리 + 달빛섬광 운용 가이드 참조.
2번 선택 구간(초록색)
피의 맛: (특정한 점사 대상이 명확히 존재하는 던전에서) 강력한 단일 및 점사를 제공하는 선택지.
영혼 소집과 강력한 시너지를 지니며, 특히 발톱의 드루이드 빌드와 잘 맞음. 야생추적자의 경우 흉포한 이빨의 피해 비중 자체가 높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이 특성의 가치도 내려감. 야생추적자로 운용하면서 단일에 더 투자하고 싶다면, 이쪽이 아니라
달 바라기를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나음.
감염된 상처: 상황을 가리지 않고 준수한 선택지.
이중 발톱 갈퀴를 쓰는 야생추적자 빌드에서 특히 강력함. 발톱의 드루이드 빌드에서도 괜찮지만,
피의 맛을 찍지 않았다면 일반적으로
야성의 격노가 보다 더 선호됨. 전반적인 성능은 비슷하면서 순간 화력 기여분은 더 높기 때문.
기습 공격:
감염된 상처와 마찬가지로 상황을 가리지 않고 준수한 특성이며,
이중 발톱 갈퀴와 강력한 시너지를 지님. 거의 모든 상황에서
야성의 격노 대신 채택되지만, 광역 비중이 매우 높은 던전에서 드물게
야성의 격노로 대체하는 것이 더 강할 수 있음.
야성의 격노: 강력한 순간 화력을 제공하며, 대규모 전투에 적합하지만 단일 대상 화력에는 크게 기여하지 않음. 전투와 전투 사이의 이동 시간이 긴 던전의 경우, 매 전투마다 호랑이의 분노를 쓸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특성의 효과를 보다 잘 볼 수 있음. 또한 재사용 대기 시간을 줄여 주는 어픽스가 있는 주간에는 이 효과가 더욱 증폭되는 것이나 마찬가지.
달 바라기: 야생추적자 빌드에 한해 강력한 단일 및 소규모 묻딜 선택지. 피투성이 손길 발동에도 기여할 수 있음.
청명의 시간: 제법 강력한 단일 대상 선택지이며, 상황을 전혀 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음. 기력 부족 문제를 느낄 때 유용함. 하지만
피의 맛과 달리, 깔때기 상황은 만들어주지 않음.
몰아치는 격노 vs
호랑이의 끈기: 빌드에 무관하게 둘 다 준수한 선택지. 지속 피해에 투자하는 빌드일수록 호랑이의 끈기가 전반적으로 약간 더 좋지만, 몰아치는 격노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음. 전투 시간이 길어지거나, 호랑이의 분노가 금방 끝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추천할 만 함.
잔혹한 베기 vs
거친 베기:
잔혹한 베기가 항상 우위. 잔혹한 베기는 단일 대상에서도 칼날 발톱보다 강력한 반면, 거친 베기로 강화된 휘둘러치기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친 베기는 운용법이 보다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화력 손실도 그렇게 크지 않다. 단,
거친 베기를 채택할 경우
이중 발톱 갈퀴와 역시너지가 발생하는 것에 주의.
3번 선택 구간(보라색)
영혼 소집 vs
화신: 발톱의 드루이드는
영혼 소집을 선호하고, 야생추적자는 둘 다 비슷하지만
영혼 소집이 우위에 있다. 용군단 시절과 마찬가지로
영혼 소집은 화신에 비하면 단일 대상 화력에 조금 더 집중하는 선택지이나, 영혼 소집 역시 강력한 순간 광역 피해를 제공한다.
피의 맛을 찍지 않는 야생추적자 빌드에서는 특히 화신이 더 좋을 수 있다. 던전에 맞게 바꾸어 쓰고, 특히 소멸이나 죽은척하기 등과 마찬가지 원리로 전투 중 숨기를 사용해 특정 보스 패턴을 넘길 수 있는 던전에서는 화신을 채용하는 것을 추천.
피투성이 손길 vs
사자의 힘: 용군단 시절과 마찬가지로, 아직 야성 드루이드에 익숙하지 않거나 피투성이 발톱을 싫어한다면 사자의 힘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실수할 요소가 줄어들어 공략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시뮬레이션상의 차이보다 실제 이득이 더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적응의 무리: 영웅 특성에 무관하게 좋은 선택지. 적응의 무리는 1점 투자로 가져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단일 대상 선택지로, 특히 야생추적자 빌드에서는 거의 항상 들고 가는 것을 추천.
걷잡을 수 없는 무리까지 찍으면 특히 중간 규모의 전투에서 묻딜 및 광역 피해에 상당한 기여를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전투의 규모가 아주 커지면 그 가치가 떨어진다.
맹수의 본능: 상황을 타지 않는 좋은 특성으로, 특히 대규모 전투와 순간 피해에 크게 기여한다.
호랑이의 분노를 강화하는 효과는 함께 쓰는
광폭화와
영혼 소집을 강화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특성은 3번 선택 구간에서
잔혹한 베기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선택지이며, 이
잔혹한 베기는
광폭화에 의해 더 강해지기 때문에 순간 피해량에 더욱 크게 기여한다.
야성의 격노를 선택했다면 그 기여분은 더욱 커진다.
야성의 광기: 영웅 특성에 무관하게 좋은 단일 대상/점사 선택지이며, 원할 때 즉시 5점을 생성해
흉포한 이빨을 쓸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광역 피해에도 간접적으로 기여한다.
찢고 도려내리 vs
혈관절단기: 이번 시즌에는 서로 차이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찢고 도려내리는 광역 피해에, 혈관절단기는 점사에 특화되어 있다.
도려내기 지속시간이 늘어난 만큼
흉포한 이빨을 더 많이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갈퀴 발톱 연장 효과는 야생추적자 빌드에서 또 도움이 되는데,
피바라미 덩굴의 발동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표범의 아귀: 발톱의 드루이드만 고려하는 순수 단일 피해 특성. 던전에 따라 그 가치가 크게 달라짐.
소모품
물약
절제된 물약: 모든 상황에서 사용하는 전투 물약.
알가르 치유 물약: 현재 유일한 치유 물약. 다만 기계공학 제작 장비와
심장추적 생명력 주입기 사용 시, 이쪽이 상황에 따라 더 좋을 수도 있음.
음식
한밤의 가장무도회 잔칫상,
거룩한 날 잔칫상,
벨렌다르의 은총은 서로 사실상 성능이 동일한데, 그 중
벨렌다르의 은총이 압도적으로 저렴하여 구하기 쉽다.
영약
연금술적 혼돈 영약만을 사용한다.
기름 / 숫돌
2시즌 장비를 착용하면 알가르 마나 기름이 우위에 서게 된다.
증강의 룬
장비 구성
능력치
Raidbots의 Top Gear 결과를 따르고, '능력치 우선순위'는 무시하라.
보석과 마법부여
보석: 1x 교묘함의 블라스페마이트 또는
한계의 블라스페마이트 + 시뮬레이션 결과에 맞는 기타 보석. 체력 보석은 챙길 가치가 없다. 야성 드루이드는 자체 이동 속도가 높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교묘함의 블라스페마이트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언급하지 않고 넘어가는 것은 좋지 않아 서술에 포함하였다.
무기: 이번 시즌에는 돌매듭의 기예 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쌩단일에서는
심연의 권위가 약간 우위에 있지만, 이번 시즌에는 그런 전투 상황이 드물다.
가슴: 수정의 광휘
망토: 날개 달린 은총의 성가
다리: 폭풍결속 방어구 강화도구
손목: 장갑 광역회피의 성가
반지: 스스로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맞는 것을 사용하라. 그 격차는 크지 않으므로, 이 절차가 귀찮다면 일반적으로 광휘의 특화를 선택해도 안전하다.
전문기술 제작 장비
제작 무기를 쓸 것이냐, 종결 무기 를 뽑을 것이냐의 선택이 중요하다. 종결 무기는 실제로 이번 시즌 종결 무기이지만 매우 희귀 장비에 속하니 주의. 또한 첫 보스도 양손 무기를 주기 때문에 바로 신화 공략에 들어간다면 신화급 무기를 빠르게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만한 미늘창 (또는 그 외의 양손 민첩 무기) +
다크문 인장: 승천. 이미 신화급 무기를 확보했다면 제외.
- 임의의 방어구 +
꿈틀거리는 방어구 결속끈(
다크문 인장: 승천을 넣은 무기를 제작했을 경우) 또는
여명견사 안감. 제작 부위는 Raidbots를 활용해 정할 것.
- 반복. 제작에 필요한 문장 수가 패치를 통해 감소하면서, 이제 장비 제작과 장비 강화는 문장 효율 측면에서 차이가 없다.
장신구
아래의 목록은 최대 레벨을 기준으로 성능 순서대로 정렬한 것이다. 실제로 어느 장신구를 장비할지는 개인 시뮬레이션 결과를 따라야 한다.
이 목록은 아직 작업 중에 있다. 아직 시뮬레이션 반영이 끝나지 않은 장신구도 있어, 추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레이드 용도
케잔의 눈 만인의 BiS라는 것이 문제. 행운을 빈다.
비열한 패 돌리기 90초 사용 효과 장신구. 일반적으로는 그냥 광폭화에 맞춰 2분마다 쓰게 될 것이다. 2분에 바로 쿨기를 쓰지 않는 전투의 경우 중간에 이것만 한 번 더 쓰는 것도 가능.
수도원의 인장 2분 사용 효과 장신구. 파티에 이 장신구를 쓰는 사람이 나 혼자라면 다소 효과가 약해짐.
임시방편 시포리움 조율기
기계 핵 증폭기 구렁에서 적절한 아이템 레벨로 획득한 것에 한함.
수상한 자양 음료 구렁에서 적절한 아이템 레벨로 획득한 것에 한함. 하향 조정 후의 성능 기준으로 이 정도.
울림 라디오
아제로크의 공명하는 심장
어둠결속 의식용 손칼
지의 폭력배 직통 전화
불완전한 승천 혈청 광폭화 직전에 발동할 것.
고물의 거장의 초강력 자석
연마공의 예비용 열쇠
신화+/쐐기돌 던전 용도:
비열한 패 돌리기 90초 사용 효과 장신구. 광폭화와 묶어 사용.
수도원의 인장 광폭화와 묶어 사용. 파티에 이 장신구를 쓰는 사람이 나 혼자라면 다소 효과가 약해짐.
케잔의 눈 (전투를 길게 유지할 수 있을 때) 10중첩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면 매우 강력함.
기계 핵 증폭기 구렁에서 적절한 아이템 레벨로 획득한 것에 한함.
수상한 자양 음료 구렁에서 적절한 아이템 레벨로 획득한 것에 한함.
임시방편 시포리움 조율기 레이드와 달리 작동 방식 특성상 쐐기에서는 효과가 다소 떨어짐.
아제로크의 공명하는 심장
어둠결속 의식용 손칼
울림 라디오
장신구 FAQ
Q: 시뮬레이션에서 Signet of the Priory 추가 버프는 몇 개 기준인가요?
A: 기본적으로는 0개. Custom APL 박스에, thewarwithin.signet_of_the_priory_party_stats=crit/haste/mastery/vers 를 붙여넣기 하면 원하는 강화 효과를 추가하여 돌려 볼 수 있음. 빼고 싶은 능력치 부분의 텍스트를 뺄 것.
Q: 어둠결속 의식용 손칼/
기계 핵 증폭기/
수상한 자양 음료 가 템렙 더 높은 좋은 장신구보다 심 잘 나오는데 이게 맞나요?
A: 물론이다. 해당 장신구들은 아이템 레벨에 비해 특히 강력한 축에 든다.
Q: 깡딜 장신구가 야생추적자로 쓸 때 더 센 것 같은데 이유가 뭔가요?
A: 야생추적자 트리의 활력의 덩굴 특성이 장신구를 포함한 외부 피해에도 적용되기 때문이다.
기타
'강한 상태' / '약한 상태': Snapshot에 대해
Snapshot이란 적 대상에게 걸린 지속 피해 기술을 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야성 드루이드의 지속 피해 기술의 공격력은 '기술 적용 시점'에 결정되며, 이는 해당 기술의 지속시간 내내 유지된다. 예를 들어 호랑이의 분노 효과를 받고 있을 때 사용한 출혈 기술은 평상시에 사용한 것에 비해 '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숙련된 야성 드루이드는 이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각 지속 피해 기술을 적절한 시점에 갱신할 수 있다.
여러 대상에게 걸린 다양한 지속 피해 기술의 상태를 직접 추적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보통 아래 위크오라 항목에 소개된 것들과 같은 출혈 Weakaura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들의 기본 구조는 모두 다음과 같이 동일하다.
- 지속 피해 기술의 아이콘이 초록색으로 빛나거나 숫자가 100보다 큼: 지금 해당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 대상이 지닌 것보다 '강한 상태'이다.
- 지속 피해 기술의 아이콘이 회색으로 빛나거나 숫자가 정확히 100임: 지금 해당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 대상이 지닌 것과 동등하다.
- 지속 피해 기술의 아이콘이 빨간색으로 빛나거나 숫자가 100보다 작음: 지금 해당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 대상이 지닌 것보다 '약한 상태'이다.
참고: 모든 기술을 '강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는 없다. 로테이션 항목의 내용을 참고하라.
Snapshot 적용 기술 목록
모든 지속 피해 기술은 기존에 걸린 것의 최대 지속시간 대비 30% 이하로 남아 있을 때만 적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는 타 직업의 대부분의 지속 피해 기술과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설명할 'pandemic'의 적용을 위함이다.
“pandemic” 구간이란?
Pandemic이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지속 피해 기술(Damage Over Time: DoT)이 지니는 메커니즘으로, 이미 걸려 있던 기술을 다시 적용하면 남아 있던 지속시간의 최대 30%가 이월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이 최대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아직 많이 남아 있을 때 다시 쓰는 것은 손해가 된다. 이처럼 지속 피해 기술을 재적용하기 적합한 구간을 “pandemic 구간”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0초의 최대 지속시간을 갖는 지속 피해 기술이 이미 걸려 있을 때, 그 기술을 다시 사용하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 1초 남아 있을 때 재적용: 지속 시간이 11초가 됨 (기본 10초 + 기존의 남은 1초)
- 3초 남아 있을 때 재적용: 지속 시간이 13초가 됨 (기본 10초 + 기존의 남은 3초)
- 8초 남아 있을 때 재적용: 지속 시간이 13초가 됨 (기본 10초 + 기존의 것 중 이월 최대치인 3초)
이 때문에 기존에 걸려 있던 것의 지속시간 중 70% 이상이 지나간 후에 재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참고: Pandemic은 원래 현재와 같은 효과를 지닌 과거 흑마법사의 지속 효과 이름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이 효과가 다른 지속 기술에도 기본 기능으로 이식된 것이다.
“Clipping”이란?
Clipping은 반대로 pandemic 구간이 되기 전에 미리 지속 피해 기술을 재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야성 드루이드는 snapshot과 피투성이 손길 등의 강화 효과 때문에 종종 이것이 이득인 경우가 있다.
매크로
이래에는 몇 가지 유용한 매크로를 첨부하였다. 이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 모두 게임플레이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내용을 바꾸어 다양하게 응용해 보자!)
마우스 커서 위치에 우르솔의 회오리 시전 (@cursor 매크로):
#showtooltip
/cast [@cursor] 우르솔의 회오리
특정 기술과 장신구 / 무기 사용 효과 묶기
몇몇 장신구나 무기는 주요 쿨다운 기술과 묶어 써야 하는 사용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있다. 야성 드루이드의 경우, 아래와 같이 광폭화와 묶는 것이 일반적이다.
- 13: 위쪽 칸의 장신구
- 14: 아래쪽 칸의 장신구
- 16: 무기
예를 들어 아래의 매크로는 이 세 가지 아이템을 광폭화 발동 시 모두 사용한다.
#showtooltip
/use 13
/use 14
/use 16
/cast 광폭화
아래와 같이, 2번 장신구만 묶는 것도 가능하다.
#showtooltip
/use 14
/cast 광폭화
마우스오버 대상에게 휘감는 뿌리
현재 마우스 커서가 올라가 있는 적을 대상으로 속박 기술인 휘감는 뿌리를 시전한다. 마우스오버 대상이 없다면, 대신 현재 선택한 대상에게 시전한다.
#showtooltip
/cast [@mouseover, harm, nodead] [] 휘감는 뿌리
버튼 하나로 해제/달래기 쓰기
대표적인 피아 식별 매크로에 마우스오버 효과를 더한 것.
#showtooltip
/cast [@mouseover, harm, nodead] 달래기; [@mouseover, help, nodead] 해제; [harm, nodead] 달래기; 해제
주시 차단
주시 대상에게 차단 기술인 두개골 강타를 시전하되, 주시 대상이 없다면 현재 대상에게 시전하도록 한다.
단축키 설정에서 주시 대상 설정 키를 만들고 함께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showtooltip
/cast [@focus, harm, nodead] [] 두개골 강타
마우스오버 대상에게 적응의 무리
마우스오버 된 아군 대상에게, 그러한 대상이 없다면 현재 선택한 대상에게 적응의 무리를 시전하도록 한다.
야성 드루이드는 회복, 재생, 정신 자극 등 아군에게 쓸 수 있는 기술이 많아, 이와 유사하게 매크로를 만들어 두는 것도 좋다. 간단히 아래의 매크로 내용에서 '적응의 무리' 부분을 다른 기술의 이름으로 바꾸기만 하면 된다. 마우스오버 된 적군 대상에게도 작동하게 하려면, 'help' 부분을 'exists'로 바꾸면 된다. 혹은 아예 적에게만 시전하도록 하려면, 'help'를 'harm'으로 바꾸면 된다.
#showtooltip
/cast [@mouseover, help, nodead] [] 적응의 무리
전투 부활 / 시너지
마우스오버 된 죽은 아군 대상에게 환생을 시전하고, 해당 대상이 살아있다면 대신 야생의 징표를 시전한다.
#showtooltip
/cast [@mouseover, help, dead] 환생; 야생의 징표
마우스오버 매크로가 안 돼요
게임 기본 설정으로는 마우스 버튼에 마우스오버 매크로를 할당하면 작동하지 않는다. 별도의 애드온인 Clicked를 사용해 설정하거나, 다른 버튼에 지정하는 식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 버튼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언급한 버튼에 할당한 것이 아닌데도 문제가 발생한다면, 매크로 내용 그 자체가 문제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대부분 help, harm, exists와 같은 조건문의 잘못된 사용이 그 원인이다.
유용한 위크오라 / 애드온
야성 드루이드 통합팩
야성 드루이드의 성능을 극대화하려면 다양한 요소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하나의 위크오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야성 드루이드 커뮤니티에서는 시간을 들여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 패키지를 제작하였다.
각 패키지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전투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도록 보여주는 여러 위크오라로 이루어져 있다. 성능상의 차이는 없으므로, 여러 가지를 직접 시험해 보고 마음에 드는 것을 계속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Drufearr 판
- Chips 판
- Fore 판
- Cheesey 판
- Cheesey 변형판
- Guiltyas 판
- Oi/Dsune 판
- Raven 판
- enthh 판 - 동 제작자의 애드온 설치 필요.
많이 쓰는 위크오라와 애드온
이하의 요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게임플레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야성 드루이드 지속 피해 기술 상태 추적기 - Oi 현재 지속 피해 기술을 시전하면 기존의 것과 비교하여 어떤 상태가 되는지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해 준다.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
야성 드루이드 Snapshot - Enth 특성, 강화 효과, 변형치 등 지속 피해 기술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를 추적하고 위크오라, 기본 이름표, Plater 이름표 등에서 표시하도록 한다.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
갈퀴 발톱 Plater 모드 - Sretnuh Plater에서 갈퀴 발톱 상태를 확인하기 쉽게 해 주는 여러 모드. 누구에게 갈퀴 발톱을 써야 하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성능상의 차이는 없으므로, 여러 가지를 직접 시험해 보고 마음에 드는 것을 계속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청명의 전조 기술 하이라이트 - Sretnuh
청명의 전조가 발동하면,
칼날 발톱,
난타,
휘둘러치기,
잔혹한 베기의 단축키 버튼이 빛나게 하는 위크오라.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
최상위 포식자의 갈망 알리미 - Marvel
최상위 포식자의 갈망 효과가 발동하면 빛나는 아이콘과 함께 효과음을 출력하는 위크오라.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
적응의 무리 도우미 - KnewOne/Drufearr
적응의 무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위크오라. 걷잡을 수 없는 무리 선택 시 아군 대상 시전 최적화 관련 내용도 지원된다.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
피투성이 손길 추적기 - Fore
피투성이 손길 발동까지의 상황을 표시해 준다. 피투성이 손길은 4초 내로 3개의 서로 다른 연계 점수 생성 기술을 사용하면 획득하는 강화 효과로, 이 위크오라는 그 4초 타이머를 표시하는 식으로 동작한다.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
피투성이 손길 추적기 - Cheesey
다른 방식의 피투성이 손길 추적기.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
주시 차단 두개골 강타가 준비되고 주시 차단이 가능한 상황이면 알림을 띄워 주는 위크오라. 자세한 설명은 자체 내용 참조.